본문 바로가기
몬스터 (전설, 판타지)

성경 속 최강 몬스터, 베헤모스의 정체와 숨겨진 진실은? 실제할까?

by 비하인드 세.모.이 2025. 2. 19.
반응형

성경 속에는 우리의 지식으로 알지 못하는 다양하고 신비로운 존재들이 등장한다. 그중에서도 구약 욥기에 등장하는 베헤모스(Behemoth)는 거대한 괴물로, 강력한 힘과 위엄을 지닌 존재로 묘사되는데, 그로 인해 많은 판타지와 게임 속에서도 베헤모스가 등장하고 있다. 그러나 성경이어도 베헤모스와 비슷한 그 어떠한 뼛조각도 발견되지 않았기 때문에 전설의 몬스터로 남아 있으며 그 해석도 분분하다. 오늘은 베헤모스의 능력과 생김새, 그리고 그에 대한 다양한 가설을 살펴보려 한다. 

 

베헤모스를 ai로 표현하였

1. 성경에 등장하는 베헤모스 

베헤모스는 구약 성경 욥기 40장 15절부터 24절에 등장하는 거대한 생물로 성경속에서는 다음과 같이 묘사된다. 

 

이제 내가 너를 만든 것과 같이 만든 베헤모스를 취하라. 그는 가축처럼 풀을 먹는다. 그의 힘은 허리에 있고 그의 힘은 배의 근육에 있다. 그는 그의 꼬리를 백향나무 처럼 세운다 . 그 허벅지의 힘줄은 서로 얽혀 있다. 그의 뼈는 놋관과 같고 그의 팔다리는 쇠막대와 같다. 그는 하나님의 작품 중 첫 번째이다. 그를 만든 사람만이 그에게 칼을 뽑을 수 있다. 산은 그에게 소출을 내고 들판의 모든 짐승이 노는 곳이다. 그는 연꽃 아래에 눕고 늪 갈대 덮개 아래에 눕는다. 연꽃은 그를 그늘로 감싸고 개울의 버드나무는 그를 둘러싼다. 그는 강물이 흐르는 것을 막을 수 있다. 그는 그의 명령에 따라 개울이 솟아날 것이라고 확신한다. 그의 눈으로 그를 잡을 수 있겠는가? 그의 코를 갈고리로 꿰뚫을 수 있겠는가?

 

그 묘사만 봐도 과거와 현재에 실존하는 동물이라고는 말할 수 없을 정도로 엄청난 포스를 지닌 몬스터이다. 이들은 하나님께서 태초를 만드실 때 나온 원시적 동물 중 하나로 표현되며 성경에 등장하는  바다뱀 괴물인 '리바이어선'과 쌍을 이룬다. 그래서일까 유대교에서는 강력한 힘을 지닌 무언가를 표현할 때 이 베헤모스를 대명사처럼 사용한다. 

2. 베헤모스 어원과 뜻 그리고 능력 

베헤모스는 짐승을 뜻하는 뜻이 확장 되며 '위대한 짐승'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 우리가 생각하는 위대한 짐승하면 보통 호랑이, 사자, 공룡과 같은 크고 강력한 동물인만큼 이시대 사람들도 베헤모스를 그렇게 생각했을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한편에서는 이집트에서 흔히 볼 수 있었던 물소나 하마를 불렀던 말에서 파생된 것으로 보이며 이는 실제 지금의 러시아어에 하마를 뜻하는 단어가 베히모스에서 유래된만큼 어떻게 유래되었는지는 알 수 없다. 

2.1. 베헤모스의 압도적인 힘

 "철 막대기 같은 뼈대"로 불리며 베헤모스는 단단한 뼈대와 근육을 지닌 강력한 존재로 묘사된다.

2.2. 백향목 같은 꼬리

성경에서는 베헤모스의 꼬리가 백향목처럼 크고 강력하다고 묘사된다. 참고로 백향목은 지중해 등지에서 자라나는 소나무의 일종으로 단단한 나무의 대명사이다. 

2.3. 강을 두려워하지 않는 존재

"강이 범람해도 놀라지 않는다"는 구절은 베헤모스가 물속에서도 재빠르고 살아갈 수 있는 존재로 설명하고 있다. 이때문에 물소나 하마 등 물과 친숙한 동물로 베헤모스를 표현하기도 한다. 

3. 베헤모스 정체에 대한 다양한 해석

3.1. 베헤모스는 하마일까? 하마 설

앞서말한 것처럼 베헤모스의 어원이 하마일 수도 있는만큼 하마설은 나름 신빙성 있는 추측이다. 우리가 잘 알다시피 하마는 강력한 턱과 무시무시한 체구를 가진 초식동물로, 물속에서도 자유롭게 활동할 수 있는데 이를 통해 일부 학자들은 성경의 베헤모스가 하마를 신화적으로 묘사한 것이라고 주장한다. 

3.2. 코끼리 설

코끼리는 지상에서 가장 거대한 동물 중 하나이며, 거대한 몸집과 강력한 힘을 가지고 있다. 특히, "백향목 같은 꼬리"라는 묘사가 코끼리의 거대한 몸을 강조하는 표현일 수 있다고 해석한다. 

3.3. 공룡 설

현실에서는 찾을 수 없는 만큼 베헤모스가 실제로 멸종된 공룡, 특히 사우로포드(목이 긴 초식 공룡)일 가능성을 말하기도 한다. 무엇보다 긴 꼬리와 거대한 몸집이 성경의 묘사와 일치하며, 과거 인간이 공룡과 공존했을 가능성을 성경에서는 말하고 있기 때문이다. 

3.4. 신화적 존재 설

베헤모스를 신화 속 존재로 해석하는 견해도 있다. 이는 성경이 단순한 생물이 아닌 하나님의 창조물의 위대함을 상징하는 존재로 베헤모스를 등장시켰다는 해석이다. 유대교의 전설은 성경을 넘어 베헤모쓰가 세상의 종말에 등장할 것이라고 표현하고 있으며 매년 4월이면 베헤모쓰의 힘이 더 강력해져 큰 포효를 하고 이를 통해 모든 동물들을 두려움에 빠지게 만들어 약한 동물들도 살아갈 수 있는 환경을 만든다고 전해진다. 다시 말해 전설과 신화속에서 베헤모쓰는 더욱더 미스터리하고 신비한 동물로 묘사되고 있는 것이다. 

앞서 말한 것처럼 베헤모스는 성경에서 설명되는 또 다른 괴물 리워야단과 한 묶음으로 이들은 바다뱀 괴물의 일종으로 표현된다. 다시 말해 성경에서는 무시무시한 괴물로 땅에는 베헤모스, 바다에는 리워야단이라는 존재가 있는 것이다.

4. 베헤모스 상징성 의미

서양 판타지가 성경속에서도 많은 부분을 모티브로 따온만큼 베헤모스 역시 당연히 오늘날 판타지 배경과 게임속에 많이 등장한다. 또한 서양의 여러 문학에도 베헤모스는 때로는 악마로 때로는 거대한 힘을 표현할 때 나오는 문학적 표현으로 등장하고 있다. 또 이슬람교에서도 베헤모스는 등장하며 지옥에 등장하는 베헤모스를 알라가 저지하는 것으로 표현되기도 한다. 


베헤모스는 성경 속에서 가장 강력한 존재 중 하나로 묘사되며, 그 정체에 대한 다양한 해석이 존재한다. 하마, 코끼리, 심지어 공룡 등 여러 설들이 있지만, 여전히 베헤모스의 정확한 정체는 알 수 없다. 그러나 성경속에 등장하는 하나님의 창조물로서 등장하는 것으로만 봐도 베헤모스는 충분히 사람들의 관심을 끌만한 괴물이며 이야기 소재가 될 것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