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56

여성의 겨드랑이털은 언제부터 없어졌나? 질레트 마케팅 이야기 인간의 미에 대한 기준은 세월이 흐르면 변화하기 마련이다. 조선의 미인상과 지금의 미인상 아니 조선으로 갈 것 없이 90년대의 미인상이 지금과 다른 것처럼 말이다. 그리고 그 중 한가지가 바로 여성의 겨드랑이털에 대한 이야기다. 지금은 대부분이 겨드랑이 털이 없는 것이 미의 기준이 되었지만 예전은 사실 신경쓰지 않는 부분이었다. 그런데 면도기의 대표주자 질레트의 마케팅으로 인해 여성의 겨드랑이털에 대한 사람들의 인식이 바뀌었다고 하는데 어떤 내용일까? 1. 1915년, 질레트의 겨드랑이 털에 대한 마케팅이 등장하다  1915년 이전만 하더라도 따로 겨드랑이털에 대한 인식은 없었다. 이는 당시까지의 옷들이 자연스럽게 노출을 막아줬을뿐 아니라 굳이 없애야 하는 것으로 인식되지 않았기 때문이었다.  그러나 점.. 2024. 8. 30.
꽃 한송이가 집 한채값? 역사상 최초, 최악의 거품경제 튤립 파동 이야기! 본래 가지고 있는 가치에 비해 시장에서 보는 가치가 높아지고 이로 인해 과열된 인간의 욕망이 투영되면서 결국에는 파멸로 향해 치닫는 일명 거품경제, 경제 신문을 뒤적거리던 사람이라면 많이 접했을 것이다. 그렇다면 역사상 최초의 거품경제는 무엇일까? 바로 우리가 잘 아는 꽃 튤립이다. 오늘은 거품경제 튤립 이야기를 해보려 한다.  1. 거품경제 ‘튤립’의 등장 지금도 우리에게 많은 사랑을 받는 튤립은 본래 야생에서 자고 나라나는 들꽃 중 하나였다. 튤립이 우리 역사에서 주목 받기 시작한 것은 11세기부터로 이때 처음으로 이슬람 세계에서 튤립에 관심을 갖기 시작하였고, 학자나 전문가들 손에 품종개량을 거치면서 당시 이슬람 사람들이 가장 사랑하는 꽃으로 대접 받기 시작한다.  무엇보다 튤립이 주는 깨끗하고 진.. 2024. 8. 26.
좀비에서 진화하면 구울? 아랍 전설에서 시작된 구울의 뜻과 유래 게임에서 항상 등장하는 몬스터를 꼽으라면 아마 구울은 세손가락 안에 족히 들어갈 것이다. 흔히 4족 보행을 하며 점프를 뛰거나 빨리 달려오는 존재들로 표현되는 몬스터 구울. 때로는 좀비들이 둘러싸고 있는 존재로도 표현되며 좀비에서 진화한 괴물이라는 인상도 주는데, 과연 구울이라는 몬스터들은 어디서부터 유래되었고 그 뜻은 무엇일까? 오늘 세상모든이야기에서는 구울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1. 구울의 유래구울이라는 어원은 아랍어에서 유래되었으며 아랍의 '탐욕스러움', '대식가' 등을 포함한 단어에서 유래되었다. 그 옛날 메소포타미아 신화 등에 등장했던 것으로 보이며 아랍지역의 무수한 유목민들이 오며가며 메소포타미아의 영향을 받아 구울의 전설이 만들어졌을 것으로 보인다.1) 아랍 전설 속 구울구울은 앞서 말.. 2024. 8. 20.
우리나라의 최고 기업! 삼성 이병철 회장이 석유화학(정유)사업을 놓친 이유는? 명실상부 우리나라를 넘어 세계를 호령하고 있는 기업 삼성! 삼성은 반도체, 전자, 건설, 관광, 의류 등 모든 사업의 선두주자가 되며 대한민국 경제 그 자체라 해도 과언이 아닌 글로벌 기업이 되었다. 그런데 이러한 삼성도 놓친 사업 종목이 있었다. 바로 석유화학산업 정유산업이다. 삼성이 정유사업의 비전을 몰랐을까? 아니면 능력과 자금이 부족해서였을까? 세상모든이야기, 오늘은 세계 최고 기업 삼성이 놓쳤던 정유와 자동차 사업의 이야기 속으로 들어가보려 한다.  1. 삼성이 놓쳤던 정유산업1.1 배경5.16쿠데타로 집권한 박정희 정부는 우리나라 산업 발전을 위한 여러 계획들을 세우면서 정유개발을 핵심 산업으로 선정하는데 얼마 후인 1966년, 우리나라 정부는 미국으로부터 최초로 민간 정유 사업을 함께하자는 .. 2024. 8. 12.
반응형